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THE HISTORY KOREA!
    • 근현대시대 대한민국
    • 일제강점기-한민족 독립운동사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 남북국시대 신라-발해시대
    • 고대시대 백제-고구려시대
    • 상고시대 고조선-부여시대
    • 선사시대 한민족 韓民族
    • 한민족 종교 그리고 신화
    • 다양한 해석과 탐구 평가
    • 세계의 역사-World History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 고려 왕실 외척의 형성 영향

    2024.05.31 by 느낌 .

  • 고려 조선 상업 경제의 발달

    2024.01.06 by 느낌 .

  • 위화도회군 그리고 개경 전투

    2024.01.02 by 느낌 .

  • 고려 조선 공격 방어 무기

    2023.11.23 by 느낌 .

  • 고려 서경파 개경파 내분 반란

    2023.11.15 by 느낌 .

  • 신라인의 핏줄 여진족 금나라

    2023.11.15 by 느낌 .

  • 무신 정권의 군사 정치 기관

    2023.11.02 by 느낌 .

  • 고려 무신 삼별초 사병 집단

    2023.11.02 by 느낌 .

  • 고려 무사-일본 사무라이 비교

    2023.10.09 by 느낌 .

  • 발해부흥운동 건국 과정

    2023.09.08 by 느낌 .

  • 고려 거란 麗遼 여요 전쟁

    2023.08.18 by 느낌 .

  • 북벌론北伐論 북방 영토 확장

    2023.04.24 by 느낌 .

  • 이순신 임진왜란 해전海戰

    2023.03.01 by 느낌 .

  • 동학농민운동 이념 천도교

    2023.02.27 by 느낌 .

  • 세종 조선 왜倭 대마도 정벌

    2023.02.23 by 느낌 .

  • 조선통신사 日本일본 파견

    2023.01.29 by 느낌 .

고려 왕실 외척의 형성 영향

옛 고구려 영토와 한반도에서 위 아래로 발해(渤海)와 통일신라(統一新羅)가 공존하며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를 형성하여 이어갔다. 서기 900년 즈음의 신라 진성여왕 재위 기간에 신라 왕족 핏줄의 승려 출신의 궁예는 처음에는 송악(개성)에 도읍지로 정하고 "후고구려"라는 나라를 세웠다. 궁예의 부하였던 무장 왕건은 그의 수하 장수들과 함께 군사 쿠테타를 일으켰고 궁예를 폐위시켰다. 철원에서 다시 송악으로 도읍을 옮기고 개경이라고 하였다. 왕건은 태조가 되어 "고려"를 세웠다. 초창기 고려 정치 체제는 왕권이 약했고 마치 지방 귀족 중심의 호족 연합 체제였다. 왕건은 나라를 세우기 전부터 자신의 세력을 키우기 위해서 수 많은 지방 호족의 여식과 혼인하면서 혈연 동맹 관계를 맺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4. 5. 31. 15:23

고려 조선 상업 경제의 발달

시장(市場)의 기원을 살펴보자면은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 시대에도 교역이 이루어졌고 멀리 바다 건너에 일본의 조몬인과도 교류가 이루어졌다. 김부식의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서기 479년부터 제21대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12년 3월에 처음으로 경사(京師)에 시장을 개설하여 사방의 재화를 유통시켰다는 기록되어 있다. 삼국시대에 "저자"라고 불리었던 물건을 파는 가게가 있는 시장이 있었고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반찬거리를 파는 작은 규모의 시장도 있었다. 화폐로서 돈은 물물교환 시대에는 조개껍데기 , 곡식 곡물, 베(옷감) 등이 실물 물품 화폐를 사용하다가 금(金), 은(銀), 동(銅) 등의 금속 광물로 휴대하기 편하게 작은 금속 조각을 만들거나 금속 광물로 작은 동전 모양으로 가운데에 구멍이 뚫어서 주조하여 화폐..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4. 1. 6. 17:36

위화도회군 그리고 개경 전투

위화도(威化島)는 의주 지역의 압록강 하류에 있는 섬이다. 당시 고려와 명나라(중국)의 관계는 명나라가 무리한 공물을 요구해 매우 긴장되어 있는 상태였다. 1388년에는 명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해 고려의 철령 이북의 땅을 요동도사(遼東都司)의 관할 아래 두겠다고 알렸다. 그러자 고려 조정에서 큰 반발이 일어났고 요동정벌 전쟁으로 이어졌다. 요동정벌이 단행되었을 때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이성계는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역하는 일은 옳지 않고 여름철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요동을 공격하는 틈을 타고 왜구(일본 해적)가 창궐할 것이며 매우 덥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이므로 활의 아교가 녹아 풀어지고 병사들이 전염병에 걸릴 염려가 있다는 4가지 불가론(四不可論)을 주장하며 반대..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4. 1. 2. 05:48

고려 조선 공격 방어 무기

신기전기 (神機箭機) - 조선 전기의 로켓 병기인 중신기전, 소신기전의 대량 발사장이다. 1451년(조선 문종 1년)에 문종에 의하여 발명된 화차(火車)의 한 부분이다. 문종 때 화차는 신기전기와 총통기(銃筒機) 중 하나를 화차의 수레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였다. 투석기 (投石機) - 돌을 던져서 공격하는 공성전에서 사용하는 병기로 발석차(發石車)라고도 한다.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며 지금은 과학용으로 쓰이고 있다. 투석기는 화약이나 기타 추진제, 특히 다양한 유형의 고대 및 중세 공성 엔진의 도움 없이 먼 거리까지 발사체를 발사하는 데 사용되는 탄도 장치이다. 투석기는 저장된 위치 에너지의 갑작스러운 방출을 사용하여 탑재량을 추진한다. 대부분은 스프링, 활, 꼬인 로프, 고무줄 또는 기타 다양한 재료 및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1. 23. 09:39

고려 서경파 개경파 내분 반란

고려의 수도 개경(開京, 지금의 개성)을 중심으로 김부식(金富軾)이 조정을 이끌던 개경파(開京派)와 고려의 계획 도시였던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을 중심으로 승려 묘청(妙淸)이 이끌던 서경파(西京派)가 수도 이전 문제를 놓고 서로 대립을 하게 되었다. 서경(西京)은 고려시대의 지방 제도와 권력 구조 세워지고 도참 사상(圖讖思想)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고려 태조 왕건은 즉위 초부터 서경 경영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당시 역사적으로 오래된 도시였던 평양이 황폐한 지 오래되었고 그동안 여진족에게 노략질당하는 것을 걱정하여 918년(고려 태조 1년)에 평양에 대도호부(大都護府)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태조 왕건의 사촌 동생인 왕식렴(王式廉)과 광평시랑(廣評侍郎) 열평(列評)을 보내어 지키게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1. 15. 12:08

신라인의 핏줄 여진족 금나라

신라의 마지막 왕이었던 경순왕의 아들인 마의 태자나 그 후손이 신라 부흥을 위해 한반도 북쪽 지방 만주로 가서 여진족 세력들을 하나로 모았으며 그의 후손인 완안 아골타가 금나라를 세웠다는 설이 있다.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 동하, 후금이나 청나라 같은 왕조들은 신라인의 혈통이라고 보는 것이다.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첫번째는 여진족이 자신들의 국가 이름을 금나라(金)라고 한 것은 금나라 태조가 신라에서 온 완안함보의 후손이라고 하는 금사(金史)의 기록을 근거로 자신이 신라의 후예인 김(金)씨라는 것을 국내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해서였다는 설이고 두번째는 후금(後金, 청나라)을 세운 만주족의 추장 누르하치가 자신의 성으로 삼은 애신각라(愛新覺羅)가 "신라를 사랑하고 잊지 말라는 뜻"으로 관련이 있다는 설이다.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1. 15. 05:11

무신 정권의 군사 정치 기관

정방(政房) - 고려 시대 최씨(崔氏) 무신 세습 정권 당시 정무(政務)를 행하던 장소이다. 고려 고종 12년(1225년) 최우(崔瑀)가 자기 집에 설치하여 문무 백관의 인사 행정을 관장하였는데 백관의 승강, 임명, 이동에 관한 이른바 전정(銓政)의 모든 권한을 장악하여 이때부터 국왕은 정방의 주의(注擬)를 승인하는 형식만 취할 뿐 모든 인사 행정이 정방에서 이루어졌다. 정방에는 임금에게 입주(入奏)하는 직책을 맡은 정색승선(政色承宣)을 두었다. 최우의 막료로서 3품관이면 정색상서(政色尙書), 4품 이하면 정색소경(政色少卿), 서류를 쓰는 사람은 정색서제(政色書題)로 삼았다. 또 정방에서 일을 보는 문사를 필도치(必闍赤)로 삼았다. 정방은 최씨 집권 때와 최씨가 몰락한 후에도 오랫동안 존재하고 이어져서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1. 2. 12:43

고려 무신 삼별초 사병 집단

삼별초(三別抄)는 1232년(고려 고종 19년) 무신정권 집권자 최우(최이)가 수도 개경의 밤순찰과 수비를 위해서 특별한 부대를 조직하고 이를 야별초(夜別抄)라 했는데 군사의 수가 많아지자 이를 나누어 좌별초와 우별초라 이름 지었고 몽골 제국과 전쟁이 일어나자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 도망쳐서 돌아온 병사들로 신의군에 편성하여 하나로 합쳐서 삼별초라는 이름으로 사병 집단을 만들었다. 삼별초는 고려시대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군인 부대이다. 최우 집권기에 치안을 목적으로 조직한 경찰 업무를 하는 좌별초의 수가 많아지자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누게 되었다. 대몽 항쟁에서 군사적 활약을 하였으나 대몽 강화가 이루어지자 이에 반발하여 삼별초는 반란을 일으켰다. 독자적인 정부를 세우고 전라도 남해안에 있는 섬..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1. 2. 10:29

고려 무사-일본 사무라이 비교

고려의 무인시대(武人時代)의 시작은 무신정권이 들어서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흥왕사에서 보현원으로 가는 도중에 고려 임금 의종은 무관들에게 맨손 격투기인 수박희라는 격투기 시합을 시켰다. 수박희가 시작되자 이소응은 싸우다가 그만 시합을 포기하고 도망쳤다. 그것을 본 한뢰가 이소응 앞에 다가가서 큰 소리로 잘못을 따지며 모욕을 주었다. 당시에 문관은 무관을 사람 취급도 하지 않았다. 대장군이었던 정중부(鄭仲夫)는 자기 자신도 일찍이 김돈중이 자신의 수염을 불에 태운 일이 있었다. 의종의 행렬이 보현원 근처에 이르렀을 때 이고와 이의방은 왕의 명령이라고 속이고 순검군사들을 한곳에 불러모아서 왕이 보현원 문 안으로 들어가기를 기다렸다가 문신배와 환관들을 살해했다. 의종이 환궁하자 환관 왕광취가 동료들과 모의해서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0. 9. 13:47

발해부흥운동 건국 과정

발해부흥운동(渤海復興運動)은 926년 발해가 멸망하고 이후에 발해 유민들이 발해를 계승해서 발해를 다시 건국하려는 왕실 복원 국토 회복운동이었다. 발해가 멸망한 이후에 발해부흥운동 과정에서 세워진 최초의 왕조는 동단국(東丹國)이다. 동단국(東丹國, 926년~982년) - "동란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단국은 거란(契丹)이 발해 유민들을 통치하기 위해서 926년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의 태조 아율아보기가 발해의 옛 영토였던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에 설치한 허수아비 자치 정부의 괴뢰국(傀儡國)으로 "동쪽에 있는 거란국"이라는 뜻이다. 많은 발해인들이 관리로 뽑혀서 일했고 거란이 세운 요나라 시대에도 이어졌다. 야율아보기가 죽은 후에 동생인 야율덕광(요나라 태종)이 거란의 왕위에 올랐다. 후당(後唐)과의 원..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9. 8. 15:30

고려 거란 麗遼 여요 전쟁

고려 거란 전쟁은 서기 993년(고려 성종 12년)부터 서기 1019년(고려 현종 10년)에 이르기까지 26년간 3차례에 걸쳐서 거란(요나라)이 고려를 침략한 전쟁이다. 서희(徐熙), 양규(楊規), 김숙흥(金叔興), 강감찬(姜邯贊) 등 여러 인물들이 활약한 전쟁이었다. 요나라를 건국한 거란족은 오늘날 중국과 몽골에 동화되어 사라진 민족이 되었다. 고려 거란 전쟁은 고려 역사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쟁이다. 이 전쟁에서 나라를 잃은 발해의 유민 일부가 요나라 군인이 되어 고려군이 되어 참전한 발해 유민과 서로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이후 발해 백성들은 고려 거란 각 나라에 동화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고려 거란 전쟁은 993년, 1010년, 1018년(1019년)에 3차례에 걸쳐서 고려와 요나라 사이에..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8. 18. 15:14

북벌론北伐論 북방 영토 확장

북벌론(北伐論)은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서기 1636년(조선 인조 14년)에 일어나며 청나라가 조선으로 제2차 침입을 하여 전쟁을 일으켰고 조선은 청나라와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적인 상하 관계 평화 조약을 맺었다. 그러자 조선은 그 사건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조선이 청나라를 정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것이 북벌론이다. 하지만 북벌론의 뜻은 생각하기에 따라서 시대별로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고조선(古朝鮮)이 한반도 동북 지역에 생겨나서 북쪽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며 전쟁을 벌인 사건도 북벌로 볼 수 있고 부여(扶餘) 시절도 그리하였고 고구려(高句麗)가 영토를 중국 대륙을 정벌하여 땅을 넓힌 것도 같은 논리이며 고구려가 멸망하고 고구려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하면서 대조영(大祚榮)이 발해(渤海..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4. 24. 08:06

이순신 임진왜란 해전海戰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은 1576년(조선시대 선조 9년)에 무과 과거 시험에서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鍊院奉事)로 처음 관직으로 일했다. 그 다음에 함경도에서 동구비보권관(董仇非堡權管) 직책으로 일했고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 직책을 거쳐서 1583년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 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으로 일했다. 1586년에는 사복시주부가 되었다. 전라도 관찰사 이광(李洸)에게 발탁되어 전라도의 조방장(助防將) 선전관 등이 되었고 1589년에는 정읍 현감으로 있었는데 당시에 류성룡(柳成龍)이 추천하여 이순신은 고사리첨사(高沙里僉使) 직책으로 승진하였고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만포첨사(滿浦僉使) 진도군수로 임명되었다. 이순신은 1591년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고 1592년 4월 13일..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3. 1. 09:29

동학농민운동 이념 천도교

농민 전쟁은 역사적으로 보았을때 세계적으로도 아주 지속적으로 자주 일어났던 사건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어난 농민운동은 내전(內戰)으로 이어져서 기존의 나라를 멸망을 시켰고 새로운 나라들을 탄생하게 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오늘날에도 별다를것이 없다. 동학농민운동의 시대적 배경은 조선 말기 한반도의 대혼란기였다. 동학 농민 운동은 서기 1894년에 전봉준을 중심으로 김기범, 손화중, 김개남 등의 동학 지도자들이 고부 지역 군수였던 조병갑의 횡포에 대항하여 백성들의 삶을 어렵게 만드는 지배층의 제거와 백성들의 평화로운 안정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갑오년에 발생한 이 농민 운동은 주변 지역에 급속도로 전해져서 수 많은 농민들이 너도 나도 동참하여 그 규모가 커졌..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2. 27. 16:37

세종 조선 왜倭 대마도 정벌

세종대왕(世宗大王)은 조선시대 제4대 국왕(國王)이다. 세종대왕은 왜구의 본거지였던 대마도(對馬島, 쓰시마 섬)를 정벌(征伐)하였다. 당시 일본에서는 경제적으로 상황이 좋지 못했다. 생활 환경이 어렵고 일본 주민들이 먹고 살아가는것이 큰 문제거리가 되었다. 그래서 일본의 영향권에 있는 영토였던 대마도에서 왜적(倭敵)이 명나라(明)에 도적질을 하러 가는 도중 조선의 연안을 침범했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기해동정(己亥東征)이 결행되었다. 기해동정은 한마디로 말해서 서기 1419년 조선시대 세종 1년에 "이종무"를 삼군 도체찰사, 유정현을 삼군 도통사로 임명하여 왜구(倭寇, 일본 해적)의 근거지였던 대마도를 정복한 사건이다. 조선시대 태종은 재위 18년 만에 세종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정치의 일선에서 물러났다. ..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2. 23. 14:45

조선통신사 日本일본 파견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는 1404년(조선시대 태종 4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 교린관계(交隣關係)가 성립되어 조선 국왕과 막부장군은 각기 양국의 최고 통치권자로서 외교적인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절(使節)을 각각 파견한 사신(使臣)이다. 일본의 막부정권이 조선 국왕에게 파견하는 사절은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라고 불렀다. 통신(通信)은 조선과 일본 두 나라가 서로 신의(信義)를 통하여 교류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한 사절의 명칭은 회례사(回禮使), 회례관(回禮官), 통신관(通信官), 경차관(敬差官) 등 다양하였다. 일본에 파견된 사절단에 통신사의 명칭이 처음 쓰인 것은 1413년(조선시대 태종 13년) 박분(朴賁)을 정사로 한 사절단이었지만 도중에 정사가 병이 나서 중지되었다. 그뒤 통..

중세시대 고려-조선시대 2023. 1. 29. 07: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푸터 로고 © THE HISTORY KOREA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